
[포포투=김아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 경기를 일단 소화할 수 있게 됐다.
글로벌 매체 '디 애슬레틱'은 26일(한국시간) “호날두는 내년 여름 월드컵 개막 직전의 징계를 피하게 됐다. FIFA가 포르투갈 주장에게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내렸지만, 마지막 두 경기는 ‘1년간의 집행유예’ 형태로 유예됐기 때문이다”고 보도했다.
앞서 호날두는 지난 14일 포르투갈과 아일랜드와의 월드컵 예선 5차전에 출전해 0-2 패배를 당했다. 전반에만 트로이 패럿의 멀티골에 당하면서 끌려갔고, 후반전엔 호날두가 분위기를 더 악화시켰다. 후반 16분 수비수와의 몸싸움 과정에서 감정을 컨트롤하지 못하고 팔꿈치로 상대를 가격한 것. VAR 확인 결과 다이렉트 레드카드가 내려졌고, 포르투갈은 남은 시간을 10명으로 싸워야 했다.
문제는 이후 행동이었다. 호날두는 VAR 판독이 이뤄지는 동안 관중석을 향해 ‘계속 울어라’는 의미로 보이는 제스처를 하며 조롱했고, 퇴장 판정 후에도 박수를 치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며 여유를 부리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결국 경기장을 떠나며 아일랜드 팬들의 동일한 조롱 세리머니를 단체로 맞받아야 했다.

대표팀 커리어 첫 퇴장을 당한 호날두의 월드컵 본선 경기 출전 불가 가능성이 떠올랐다. 글로벌 매체 'ESPN'은 “호날두가 2026 북중미 월드컵 첫 경기부터 출전 정지를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그는 레드카드 누적으로 자동 부과되는 1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게 된다. 이 징계는 오는 일요일 아르메니아와의 홈경기에서 적용되며, 포르투갈은 승리 시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FIFA 규정에 따르면 심각한 위험을 일으킨 반칙은 최소 2경기, 폭행(엘보 포함)의 경우 최소 3경기 이상의 출전 정지가 내려질 수 있다. 또한 FIFA 징계는 경쟁 경기(공식전)에만 적용되며, 친선 경기로 대체할 수 없다. 이에 호날두가 내년 월드컵 첫 경기에 출전할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포르투갈의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감독은 호날두를 두둔했다. 그는 경기 후 “226경기를 뛰는 동안 한 번도 퇴장당한 적 없던 선수다. 그 점은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오늘 판정은 다소 가혹했다고 본다. 그는 계속 잡히고 밀리고 당하면서 60분 가까이 싸웠다. 몸을 떼려다 과하게 보인 것일 뿐, 화면상으로만 팔꿈치처럼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어 “수요일 기자회견에서 상대 감독이 ‘호날두에게 심판이 휘둘릴 수 있다’고 말한 부분이 떠오른다. 그러고 나서 큰 체구의 수비수가 호날두 몸짓 하나에 극적으로 쓰러지는 모습을 보니 씁쓸하다”고 덧붙였다.

최종 징계는 3경기 출전 금지다. '디 애슬레틱'은 “레드카드를 받은 이상 자동으로 1경기 출전 정지(아르메니아전)가 적용되지만, FIFA 징계위원회는 이 행위가 더 무거운 처벌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징계를 총 3경기로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징계위원회는 늘어난 징계 중 마지막 두 경기를 집행유예로 남겨두기로 결정했고, 이는 호날두가 앞으로 1년간 “유사한 성격의 또 다른 위반”을 하지 않는 한 추가 경기에 결장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FIFA 규정에 따르면 예선 경기에서 받은 징계는 본선으로도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집행 유예 처리를 받으면서 호날두가 또 다른 불필요한 반칙을 범하지 않는다면 아르메니아전만 결장하고 다음 예정된 경기에는 모두 나설 수 있다.
한편 호날두는 다가오는 월드컵이 자신의 마지막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1월 북중미 월드컵이 자신의 마지막 월드컵이라고 공식 선언했고, 은퇴를 곧 앞두고 있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